- 패킷 스위칭(이산적 스위칭), 라인 스위칭(전화), 큐잉(순서, 선입선출)
시기 내용 1961 Kleinrock 패킷 스위칭에 대한 효율적 큐잉 이론을 적시함 1964 Baran 군사 네트워크에서 음성보안을 위한 패킷 교환 사용 연구 착수 1967 ARPAnet(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에 의해 인류 최초의 패킷 교환 컴퓨터 네트워크이고 인터넷의 직접적인 원조체계 1969 4개의 노드로 인터넷 원조 가동 시작 1972 ARPAnet 공용 이연, NCP, 최초의 호스트간 프로토콜 완성, 최초의 E-mail program development. ARPAnet Node Extention to 15 1970 ALOHAnet 하와이 소재 대학생들을 연결하는 위성 네트워크의 출현 1974 Cerf& Kahn 포괄적 상호연결 네트워크의 구조 개발 1976 Xerox PARC의 이더넷 개발 성공 등 - Ethernet: 네트워킹의 방식 중 하나, CSMA/CD 프로토콜 사용.
-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 대충 알아서 눈치로 통신하자라는 의미.
- 콜리전 도메인(Collision domain, 충돌 범위) : CSMA/CD로 눈치 것 통신하다 충돌 나는 범위.
- Carrier Sense: Carrier 감지
- Multiple Access: 다중 접근
- Colleision Detection: 충돌 감지
- 감지후 유휴 상태면 전송, 동시에 전송하게되는경우 충돌발생, 충돌하면 대기후 또 발송 여러번 반복후 계속 충돌나면 포기.
- 일반적인 속도 100/1,000Mbps
- 1970년대 후반: 새로운 구조인 DECnet, SNA, XNA 출현
- 1980~90년대: 네트워크의 성장, 프로토콜의 등장.
- 1983: TCP/IP의 구축
- 1982: SMTP e-mail 프로코톨 정의
- 1983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인터넷이름과 DNS 개발
- 1985: ftp 프로토콜 개발
- 1988: TCP 혼잡 제어
- 새로운 국가적인 네트워크들(ARPAnet으로 부터 바뀜): Csnet, BITnet, NSFnet, Minitel
- 1990: NSFnet의 확장으로 ARPAnet이 해체됨.
- 등등...
728x90
'etc. > 암호프로토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Source to Destianation Internet flow (0) | 2023.12.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