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Curation 자세히보기
728x90

비즈니스 3

직원 교육이 중요한 이유..

중견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이직한지 벌써 11개월째다. 데이터 관리 및 전산 시스템 도입을 위해 여러 활동들을 하고 있는데 좀 많이 힘들다. 중소기업_기업경영 개선활동 2월24일(수) 최근 회장님, 사장님을 모시고 프레젠테이션(이하 'PT')을 진행했다. (중견기업에서 6년 경력으로 구매관리 4년(2년은 겸직), 전산관리 4년(2년은 겸직)을 하였고, 중소기업으로 이직후 2ster.tistory.com 기업 업무 환경 개선 활동을 하며 가장 힘든요소는 직원 교육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 아닐까 싶다. 또한 프로젝트 총 책임자의 잦은 변덕도 너무 어렵다. 이번 글은 교육에 대한 내용을 써보려고 한다. 업무를 추진하는데 있어 특히 제조업 사무업무를 하는 사람이라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생각하는 것들이있다. 1. ..

중소기업_기업경영 개선활동_원부재료 품목 코드화

규모있는 기업에서는 각종 관리를 위하여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MIS:경영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회사의 자료와 정보를 관리한다. 제조업의 경우 원부재료, 제품을 표준화, 규격화 하여 관리를 하는데 이럴때 사용 되는 것이 품목 코드이다. 코드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산화 작업을 위해 자료를 좀더 쉽게 관리하게 하기위해 사용된다. 우리가 가장 가까이서 접하고 알고 있는 코드의 예로는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이 있다. 코드의 종류에는 '순차 코드', '블록 코드', '10진 코드', '그룹 분류 코드', '연상코드', '표의 숫자 코드', '합성 코드'가 있다. 구분 내용 순차코드 자료가 등록된 순서에따라 차례대로 등록하는 코드 블록코드 공통 분류 기준으로 분류하하는 코드 연상코드..

경영관리_표준화를 하는 이유

오늘은 표준화를 왜 해야 되는지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이전 회사에서 '폴리에틸렌'소재의 호스를 부르는 명칭이 제각각이라 처음에 적응하는데 애를 먹었던적이 있다. 신입 시절 관리하던 품목의 이름이 전산시스템에는 'TUBE'로 기록되고 관리되고 있었는데, 생산 현장에가니 '석션'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고 있었다. 또 어떤사람은 '호스'라고 부르고 있었다. 품목은 1개인데 부르는 명칭이 제각각인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이것을 무엇이라 기록해야 했을까?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어라."라는 말대로 알아 듣고 기록 하는 것이 맞을까?아니면 잘못 되었다고 계속 말하며 표준화 시키는 것이 맞을까? 큰 맥락에서는 지속적인 개선을하며 기록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제각각 말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원인중..